안녕하세요~ 고과장입니다.
오늘은 EMS PREMIUM(UPS)로 해외배송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앞서 포스팅에서 현재 EMS는 코로나로 인해 배송이 불가한 지역이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EMS가 안되서 DHL이나 FEDEX를 쓰자니 배송비차이 때문에 부담을 느낀다면
EMS PREMIUM(UPS)을 통해 물품을 해외배송 및 수출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코로나 때문에 배송 불가지역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배송 전에 전화해서 우편번호를 알려주고
현재 배송가능한 지역인지 확인하세요!
EMS PREMIUM(UPS)발송 준비
1. 제품 및 요금 확인
2. 운송장 작성
3. 상업송장 및 패킹리스트 (일반수출면장 대행요청 시, 사업자등록증 사본/총 3부)
장점 중, 가장 첫번째로, 배송비를 들 수 있어요.
말그대로 EMS라는 전세계 우체국 배송채널에 PREMIUM급으로 서비스가 올라간 것인데
이는 UPS라는 세계적인 익스프레스 운송사와 손을 잡았기 때문이죠.
우리가 주변에 있는 우체국을 통해 쉽게 익스프레스 딜리버리를 경험할 수 있다 정도가 될거 같아요.
우체국에서 EMS PREMIUM으로 배송접수하면 결국은 UPS로 들어가서 새로운 번호를 부여받고 배송되니까요.
두번째 장점으로는 면장을 대행해 준다는 것이에요.
샘플면장과 일반수출면장을 대행해주는데 일반 수출면장의 경우 Commercial Invoice와 Packing List를
제출하면서 동시에 사업자등록증 사본도 동시에 UPS에 보내줘야 UPS에서 면장대행을 해줘요.
이 면장대행 과정에서 UPS가 서류에 확인이 필요할 경우, 직접 전화를 주니까 주저말고 이 과정은
직접 몸으로 체험하고 터득해보세요~
세번째로 비교적 배송이 빨라요.
이런 대형 특송사들은 항상 가져가는 기본적인 물류량이 있기 때문에 전속으로 거래하는 항공사들이 있고 이들과 함께
안정적으로 배송을 진행해요.
그럼 한번 발송 과정을 살펴볼게요.
첫째, 제품의 페킹사양과 배송비를 확인해 볼게요.
어떤 면에서 배송비라는 것도 제품 수출에 있어서 중요한 금액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전에 배송비가 과도하게 차지하지는 않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어요.
배송비는 아래 사이트 주소를 통해서 페킹사양을 입력한 뒤 확인 가능합니다.
주의해야할 점은 실제 중량이 아닌 부피무게로 금액계산을 한다는 점과
제한 사이즈가 있으니 꼭 사이트의 주의문구를 참고해 주세요.
그리고 부피무게를 젤 때, 일반 배송사는 보통 cm x cm x cm ÷ 6000을 나눠서
부피무게를 기준으로 kg당 단가를 적용하고 있어요.
둘째, 운송장 작성인데요.
여기서는 지난번 EMS처럼 면장은 하나로 끊고 싶은데 (즉, 최종 수취인이 1명 임)
보낼 물품이 많을 때는 운송장을 어떻게 작성하면 좋은지 알려드릴게요.
일단 상업송장과 패킹리스트가 최종 수취인에게 한번에 도착하는 것으로 되어있어야겠죠?
이 부분은 다음 포스팅에 설명드릴게요.
예를들어 1개의 면장으로 4개의 박스를 보내기 위한 상업송장과 페킹리스트 서류가 준비되면
이제 그 표시를 해줘야겠죠?
아래 표시된 곳에 숫자로 표기만 잘 해주면 끝! 참 쉽죠잉~^^
4박스라고 가정하면, 1/4, 2/4, 3/4, 4/4로 나눠주면 끝이랍니다.
여기서도 기준 환율이 USD니까 EUR로 거래한 건에 깜박하고 같은 금액을 USD로 적으면
UPS에서 연락이 올 수도 있어요~^^
이렇게 3가지를 준비해서 우체국에 가면 끝~~~
어때요? 해외로 물품을 보내는 방법도 어떻게 보면 그 순서를 이해하고 중요한 서류들이
왜 필요한지 알면 익숙해지는게 참 쉬워지겠죠?^^
앞으로 설명이 필요한 내용들, 꾸준히 올릴 수 있도록 할게요~
빠염~^^
고과장의 해외무역 실전 노하우 <-보러가기
[해외수출 & 무역 컨설팅] HS CODE 및 세율 확인방법 (0) | 2020.11.26 |
---|---|
2. 해외영업을 시작하기 전 필수사항 트레이드내비(TRADENAVI) (0) | 2020.11.25 |
EMS 홈페이지에서 해외로 물품 보내는 방법 (1) | 2020.11.19 |
유럽무역 관세확인하는 방법 (0) | 2020.11.12 |
유럽수출 시, 부가가치세 확인하는 방법! (0) | 2020.11.11 |
댓글 영역